728x90
반응형
백엔드를 설정하려고 검색을 하던 중 어떤 블로그는 application.properties 사용하고 어떤 블로그는 application.yml을 사용함을 발견했다. 나는 application.yml 파일이 없는데...?
properties 와 yml의 대표적인 차이는 내부 구조
- properties : 각 줄마다 key=value의 형태
spring.application.name=canlenderProject
spring.data.mongodb.uri=mongodb+srv://<id>:<password>@canlenderdb.dbqectn.mongodb.net/......
spring.data.mongodb.database=mydatelist
- yml : 들여쓰기로 구분되는 계층 구조 및 key: value의 형태, properties보다 직관적, key를 중복해서 작성하지 않아도 됨
spring:
application:
name: canlenderProject
data:
mongodb:
uri: mongodb+srv://........
database: mydatelist
- 들여 쓰기가 아주 중요하다고 한다
application.properties의 이름을 application.yml로 변경해서 사용해도 되고,
application.yml 파일을 하나 더 만들어서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properties의 우선순위가 더 높기 때문에 yml 파일에서 설정한 내용이 덮어씌워질 수도 있는 점을 주의해야 함
728x90
반응형
'개발일기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(Java Persistence API) (0) | 2024.04.30 |
---|---|
Spring Framework (0) | 2024.04.15 |
Gson을 이용한 json 파일 읽기 (0) | 2024.04.10 |
crawling - Jsoup (0) | 2024.04.10 |